소소하게 행복하자/생활정보

주휴수당 조건 및 계산법 알아보기

리슬리_ 2025. 4. 18. 15:51

알바생 혹은 단시간 근로자가 꼭 확인해야하는 사항이 있습니다! 바로 주휴수당 조건 및 계산법이에요. 현재 하고 있는 일이 주휴수당 조건에 해당된다면 근로자 누구나 법적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어요.

 

 

오늘은 주휴수당 조건과 계산법,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는 질문을 정리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알바를 하든 단시간 근로를 하든 근무 조건만 맞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수당 꼭 챙겨보아요.🙂

 

 

1) 주휴수당 뜻

주휴수당이라는 단어를 자주 들어보기는 했는데 왜 주는 것인가 궁금한 분들도 계실 것 같아요! 주휴수당이란 근로자가 1주일 동안 소정의 근로일을 개근한 경우, 유급으로 쉴 수 있는 하루치 임금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주 5일동안 하루 3시간씩 일한다면 주휴수당으로 하루 3시간치 급여를 추가로 받을 수 있어요. 쉽게 생각하면 5일 일하고 6일분 임금을 받는 것이죠!

 

일한 만큼만 받는 것이 아니라 성실히 근무한 것에 대한 보상과 휴식을 위한 권리를 보장해주는 제도랍니다. 몰라서 자신의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조건도 꼼꼼하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 주휴수당 조건

다음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알바생이나 근로자 누구나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주일 15시간 이상 근무

휴게시간을 제외한 근로 시간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이어야 해요.

* 하루 3시간씩 주 5일, 총 15시간 근무했다면 주휴수당 지급 대상

 

소정근로일 개근

소정근로일 모두 개근해야 합니다. 지각이나 조퇴, 결근이 없어야해요.

 

근로계약서 작성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정식 근로자여야 합니다. ①번의 근로 시간이 근로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어야해요. 근로계약서 작성 없이 비공식적으로 근로한 경우는 지급 대상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정리하자면 주휴수당 조건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고 약속된 근무일을 모두 성실하게 출근한 근로자에게 지급됩니다.

 

 

3)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은 '하루 통상임금 × 1일분' 공식으로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어요. 2025년 최저시급(10,030원)으로 하루 3시간 주 5일 근무할 때 주휴수당은 '1일 통상임금: 3시간 × 10,030원 = 30,090원' 입니다. 여러분의 예상 주휴수당도 계산도 간단하게 따라해보세요!

 

 

주휴수당 지급일은 통상적으로 급여 지급일에 함께 지급됩니다. 각자 월급을 받는지 주급을 받는지에 따라 다르겠죠? 저도 올해는 하루 3시간 주5일 단시간 근로를 하고 있어서 주휴수당을 받고 있어요! 확실히 수당이란 보상이 있으니 든든하네요.

 

 

4) 자주 묻는 질문


Q1. 주말이나 휴일에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정해진 소정 근로일이 주말이나 휴일이라면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Q2. 단기알바도 받을 수 있나요?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다면 지급 대상입니다. 다만 하루씩 근로계약을 하는 일용직 근로자나 일주일에 15시간 미만 초단시간 근로자는 대상이 아니에요.😥 근로 시간을 잘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Q3. 지각, 조퇴, 결근이 있다면?

주휴수당은 성실히 일한 근로자를 위한 보상 제도입니다. 따라서 지각이나 조퇴, 결근이 있다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모두 성실하게 근무해서 수당 꼭 챙겨받아요!

 

Q4. 주휴수당 안주면?

고용주가 근로자에게 주휴수당을 주지 않는 것은 불법이에요. 근로기준법상 주휴수당은 알바, 정규직 구분 없이 근로자 누구나에게 해당되는 권리입니다. 만약 사업주가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는다면 근로계약서, 출근기록 등 증빙자료를 바탕으로 고용노동부에 신고할 수 있어요.

 

 

주휴수당을 안주면 사업주는 근로자 임금체불로 고용노동부 조사 대상이 되고, 근로기준법 제 36조 위반으로 처벌받을 수 있어요. 더불어 지급 예정 수당 외에 지연이자를 붙여 지급하라는 명령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때 지급하는 것이 좋습니다.

 

Q5. 주휴수당 미지급 대처 방법

사업주와 먼저 대화를 통해 지급 의사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그래도 정해진 주휴수당을 지급받지 못했다면 고용노동부 상담을 통해 임금체불 진정서를 제출합니다. 근로계약서와 출근부 등 증빙자료는 미리 확보해두세요! 

 

 

오늘은 주휴수당 조건 및 계산법을 소개해드렸어요.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명시 된 근로자의 기본 권리입니다. 받으면 좋고 안받으면 그만인 것이 아니예요! 근로시간이 짧더라도, 단기근로자라도 조건만 맞으면 모두 받을 수 있으니 소중한 권리를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반응형